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즈널 마케팅(Seasonal Marketing)

by 부유한엄마 2024. 5. 1.
반응형

시즈널 마케팅(Seasonal Marketing)의 정의와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한 단계와 사례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즈널 마케팅(Seasonal Marketing)의 정의

시즈널 마케팅(Seasonal Marketing)이란 계절에 맞춰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행위를 말합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같은 계절뿐 아니라 연말연시, 블랙 프라이데이, 신학기 등 특정 시즌에 소비가 늘어나는 시점을 놓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진행하는 전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시즈널 마케팅은 계절과 관련이 높은 것처럼 느껴지지만 사실 계절에 국한되어 있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즉 시즈널 마케팅은 특정 기간의 특수성을 활용한 짧고 강력한 마케팅 전략을 말합니다.

 

중요한 이슈들을 정리한 마케팅 캘린더를 만들어 시즈널 이슈에 맞는 프로모션 또는 마케팅 전략을 구상하는 것은 해당 시즌에 맞는 자사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주목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소비자들의 구매욕구 및 패턴을 자극하여 매출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더불어 시즈널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면 제품이나 서비스의 독특한 매력을 부각하고 매년 돌아오는 시즈널 이슈 때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소비자들의 인식에 각인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시즈널 마케팅 프로모션을 위한 단계

시즈널 마케팅 프로모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네 가지의 단계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중요한 시즌을 파악해야 합니다.

시즈널 마케팅 전략 및 프로모션을 준비하는 첫 번째 단계는 어떤 시즌이나 이벤트가 고객에게 중요한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시즌별 이슈가 담긴 마케팅 켈린더를 정리하는 것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즈널 마케팅에서 중요한 점은 한 시즌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연중 다양한 시즌을 활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판매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일관된 매출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타깃 고객을 정의해야 합니다.

시즈널 마케팅에서도 타깃 고객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소비자 집단을 타깃으로 할 것인지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타깃 고객을 명확히 설정해야만 효과적인 마케팅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깃층의 선호도나 트렌드 변화에 대한 예측 조사 등이 가능해져 이를 파악한 후 마케팅 전략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 번째 프로모션을 계획해야 합니다.

시즈널 마케팅에서 시즌과 고객이 정해졌다면 그에 맞는 프로모션의 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 시기별로 신제품 출시 등의 이슈를 활용할 수도 있고 시즌별로 주목되는 서비스나 제품의 특성을 부각하는 내용으로 포로모션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프로모션을 계획할 때는 마케팅 집행 시기 및 어떤 채널을 활용해 프로모션 내용을 오픈하고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구체화하여 진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네 번째 피드백 수집 및 분석을 해야 합니다.

시즈널 마케팅으로 기획한 프로모션을 진행한 후 소비자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음 프로모션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타깃 설정 및 마케팅 전략과 채널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 타깃 재설정이나 제품의 보완할 점 등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좋았던 점이나 미흡한 점을 잘 정리하여 매년 진행되는 시즌 마케팅 기획 시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시즈널 마케팅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특정 계절에만 나오는 재료를 원활하게 수급하여 특정기간에 맞춤 새로운 제품을 구성한다면 소비자의 구매 동기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한된 기간 제공으로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간을 짧게, 임팩트를 크게 하여 소비자의 기대효과를 자극하고 강력한 혜택을 강조하는 것이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시즈널 마케팅의 사례

시즈널 마케팅의 성공적인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4년 1월 '청룡의 해'를 강조한 '스타벅스'

'청룡의 해'를 맞아 스타벅스는 시즈널 마케팅으로 푸른 용의 힘찬 기운을 강조한 음료를 리뉴얼하여 출시했습니다. 이 시즈널 마케팅을 시작한 지 열흘 만에 100만 잔을 돌파하였을 정도록 판매에 성공한 시즈널 마케팅이었습니다.

 

2) 4월 '벚꽃 에디션' 봄봄 시리즈를  강조하여 상품을 출시한 '다이소'

아성 다이소의 대표적인 시그니처 시리즈로 매년 4월 봄이 되면 피는 벚꽃감성을 자극하여 '벚꽃'을 모티브로 한 상품들을 출시합니다. 봄을 맞아 집 단장이나 자취를 시작하려는 고객들을 위한 리빙용품과 봄 나들이를 즐길 수 있는 패션용품으로 구성하여 판매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3) 5월 '가정의 달'을 강조한 '텐바이텐'

텐바이텐은 가정의 달 시리즈로 5월 가정의 달 선물을 제안하는 각종 기획전을 홍보했습니다.  MZ 세대 덕질문화의 효도버전으로 부모님과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제품으로 자연스러운 인증을 유도하는 바이럴 마케팅을 진행하여 젊은 청년들의 인기를 끌어내었습니다.

 

4) 핼러윈 시즌을 이용한 게임사들

넥슨부터 각종 게임사들도 시즈널 마케팅을 활용하여 접근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핼러윈 시즌에 맞추어 등장하는 귀여운 아바타, 캐릭터 옷, 장식 무기, 이벤트 스토리 등을 통하여 접속을 유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핼러윈 시즌과 더불어 크리스마스, 방학 시즌 등을 활용하여 게임 접속 유입이 증가되었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시즈널 마케팅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시즈널 마케팅을 잘 활용하여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고 구매를 촉구한다면 기업과 상품의 인지도 상승과 더불어 매출을 상승시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